IT&블로그 · 2025. 9. 30.

카카오톡 숏폼 차단 가능할까? 미성년자 보호조치 신청방법

 

 

요즘 카카오톡 숏폼(뷰 탭) 때문에 걱정되시는 분들 계신가요? 아이들이 짧은 영상에 오래 노출되는 게 불안한데, 카카오톡 안에서도 미성년자 보호조치가 있다는 걸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카카오톡 미성년자 보호조치가 뭔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바로 확인하세요. 

 

 

카카오톡 미성년자 보호조치란?

카카오톡 미성년자 보호조치는 오픈채팅, 숏폼(뷰 탭) 같은 콘텐츠 접근을 제한하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해서, 미성년자가 원치 않는 콘텐츠나 유해한 영상을 보지 않도록 보호 장치를 마련해둔 건데요.

특히 숏폼 영상은 중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청소년 유해 콘텐츠 차단 기능을 찾는 부모님들은 서둘러 설정하고 있죠!

 

 

미성년자 보호조치 신청 방법

미성년자 보호조치는 카카오톡 앱에서 바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경로 

카카오톡 실행 후, 상단 톱니바퀴 누르고 [전체설정] 선택.  

[기타] → [미성년자 보호조치 신청] 메뉴로 들어갑니다.

 

 

신청서 작성방법

 

해당 화면에서 몇가지 항목을 작성하고, 인증하고나면 접수신청 완료인데요.

  1. 문의 분류 : 아동,청소년보호 → 미성년자 보호조치신청(보호자)
  2. 이메일 주소/휴대폰 번호 입력
  3. 보호자 본인확인 (휴대폰인증)
  4. 자녀 본인확인 (휴대폰인증)
  5. 보호 조치영역:  숏폼, 오픈채팅, 숏폼+오픈채팅 중 선택
  6. 문의 제목/내용 작성 
  7. 가족관계 증명서 첨부

한가지 필요한 서류가 '가족관계 증명서' 입니다. 미리 다운로드 받아서 준비해주세요. 

 

👉 설정을 완료하면 자녀 카카오톡 화면에서 숏폼 탭 자체가 보이지 않거나 접근 제한 안내가 뜹니다.

 

 

 

유의사항

카카오톡을 지우지 않아도 숏폼과 오픈채팅 차단이 가능하죠. 가족관계증명서 한장만 있으면 크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다만, 미성년자 보호조치는 1년간 적용되므로, 기간 종료 시 다시 신청해야 합니다. 

 

카카오톡의 숏폼을 막는다고해도 다른 숏폼 앱을 막을 수는 없죠. 

아이의 스마트폰 환경을 안전하게 만들려면, 가족 안심 서비스휴대폰 보안 설정 같은 추가 조치를 함께 쓰는 게 필요해 보이긴 합니다.

 

일단 카카오톡 미성년자 보호조치 부터 바로 시작해보세요. 

 

 

 

 

*우리 사이트 페이지의 링크를 사용하여 구매한 제품을 통해, 쿠팡 파트너스 및 제휴 광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