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만든 프로그램이 사람을 이길 수 있을까?
2016년, 기계보다 인간의 힘을 믿고 있던 시절 바둑 역사상 가장 상징적인 대국이 서울에서 열렸습니다.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와 인간 대표 이세돌 9단의 대결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알파고>는 이 역사적인 승부의 뿐만 아니라, 기술과 인간성의 경계에 대한 깊은 성찰을 서사로 풀어냅니다.
세기의 대결, 그 치열했던 현장
서울에서 펼쳐진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은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이 대결에서 이세돌은 1승 4패를 기록했죠.
모두가 처음엔 "기계가 바둑을 이길 수 있을까"라는 물음을 가졌지만, 대국이 거듭될수록 생각은 바뀌어갑니다.
'우리는 AI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었나'
알파고는 기존의 바둑공식과는 전혀 다른 수를 둡니다. 프로 기사들조차 혼란스러워했던 알파고의 놀라운 수들은 기존 바둑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뒤흔들었습니다.
많은 이들은 이세돌의 유일한 1승인 4국을 '기계에 대한 인간의 반격'으로 기억하지만, 다큐는 인간의 자존심 회복이 아닌 그 순간 이세돌이 보여준 '창의성과 직관'에 집중합니다.
기계가 예상할 수 없었던 수. 데이터가 아닌 감각으로 둔 수.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영역은 어디까지일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인공지능, 위협인가 희망인가
다큐멘터리는 AI에 대한 복합적인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합니다. 딥마인드 개발자들의 감정, 바둑 기사들의 혼란, 관객의 반응까지 담아 AI발전이 가져오는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담아내죠.
개발자들조차 "우리는 알파고가 보여주는 수를 보며 우리가 만든 걸 다시 배우고 있다"라고 고백했습니다. 알파고는 단순한 계산 도구가 아니라, 인간의 지능을 재정의하는 존재로 다가왔습니다.
바둑은 단순한 게임이 아닙니다. 패턴, 창의력, 직관, 집중력, 심리전까지 모두 작동하는 지능의 총체적 표현입니다. 그래서 알파고와의 대국은 단순히 경기 결과 이상으로 인간 지성과 인공지능 알고리즘 간의 거대한 충돌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지금 알파고를 다시 본다는 것
2025년 현재, 생성형 AI가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았습니다. 우리는 챗봇과 대화하고, 알고리즘에 의존하며, AI로 그림과 글을 만들고 있죠. 다큐멘터리 <알파고>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우리가 마주한 AI 시대를 이해하는 출발점이자 이정표입니다. 이 영화는 기술과 감정, 계산과 직관 사이의 경계에서 인간의 본질을 되묻죠.
결국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질문은 명확합니다. 인간은 계산하는 존재인가, 아니면 느끼고 창조하는 존재인가?
기계가 인간을 이긴 순간 보다도, 그 승부 안에서 우리가 어떤 감정을 느끼고 배웠는지 생각하며 같이 성장하는 것이 중요해진 시대입니다.
** 2025.03 현재 시청가능한 ott는 아쉽게도 없습니다